얼죽신에서 구축으로? 요즘 서울 아파트 시장의 흐름
"얼어 죽어도 신축!"
요즘 부동산 카페나 커뮤니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말이에요. 새 아파트에 대한 로망, 여전히 강하죠.
쾌적한 환경에 최신 커뮤니티 시설까지… 누구나 한 번쯤은 살아보고 싶은 곳이니까요.
그런데 말입니다, 요즘 분위기가 좀 달라졌어요.
신축, 너무 비싸서 못 사요…

서울 신축 아파트 가격은 매년 가파르게 오르면서 ‘진입장벽’이 점점 높아지고 있어요. 10년 이하 아파트의 매매가는 최근 3년간 연평균 9% 넘게 올랐고, 이젠 웬만한 현금 없이는 엄두도 못 낼 정도가 되어버렸죠.
게다가 앞으로는 분양가도 더 오를 수밖에 없대요. 올해 6월부터는 30세대 이상 공동주택에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이 의무화되거든요. 기준 맞추려면 건축비가 더 들어가니까요.
그래서 시선은 '구축'으로
그런 상황에서 사람들이 눈 돌리는 곳이 바로 ‘구축 아파트’예요. 특히 재건축 가능성이 있는 30년 넘은 단지들이 최근 다시 주목받고 있어요.
지난 몇 년간 데이터를 보면 2021년엔 전체 매매 중 10년 이하 신축 비중이 22%였는데, 2024년 들어선 20% 아래로 떨어졌고, 반면 10년 넘은 구축의 거래 비중은 꾸준히 늘고 있어요.
그러니까 신축은 부담스러운데, 구축은 현실적으로 ‘대안’이 되는 거죠. 거기다 나중에 재건축까지 된다면? 가격 상승 기대감도 덤!
하지만 주의할 점도 있어요
물론 구축이라고 무조건 좋은 건 아니에요. 재건축 사업은 시간도 오래 걸리고, 추가 분담금 같은 변수가 많거든요. 입지나 사업성 잘 따져봐야 해요.
이미 입지 좋은 곳에 지어진 구축도 있긴 합니다!!
요즘엔 ‘확실히 될만한’ 재건축 단지만 선택적으로 수요가 몰리는 분위기예요. 즉, 모든 구축이 인기 있는 건 아니고, 입지 좋고 사업 추진 가능성이 높은 곳 위주로만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거죠.
신축 아파트에 대한 선호는 여전하지만, 부담이 커진 만큼 실수요자들은 ‘현실적인 대안’으로 구축 아파트, 특히 재건축 기대 단지로 방향을 돌리는 모습이에요.
부동산 시장 흐름은 이렇게 변화의 신호를 조용히 보내고 있습니다.
지금이 바로 그런 전환점인지도 모르겠네요!
#서울아파트
#부동산트렌드
#얼죽신
#신축아파트
#구축아파트
#재건축
#부동산매매
#서울부동산
#집값전망
#아파트매매
#신축vs구축
#부동산시장
#재건축투자
#주택시장동향
#2030내집마련
#현실적인선택
#부동산정보
#집사는이유
#아파트시세
#부동산뉴스
'부동산, 금융,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녀가 있으면 유리한 가족법인 부동산 투자? (0) | 2025.04.01 |
---|---|
3/31일부터 적용 달라지는 신생아가구 청약제도 개편! (4) | 2025.04.01 |
13조 돌파한 신생아 특례대출 고소득 신혼부부는 더 이득? (0) | 2025.03.30 |
1988년에 시작된 국평 85제곱미터, 누구를 위한 국민주택인가? (2) | 2025.03.30 |
토허제 재지정과 노도강 경매 낙찰가율 100%가 시사하는 것은? (0) | 2025.03.30 |